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

홈으로 제도소개 제도소개
x

[참여인원] 999,999

[좋아요] 99,999명 [별로에요] 99,999명
x

의견 감사합니다.

정확한 통계를 위해 추가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성별
  • 남자
  • 여자
나이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지역
  • 서울
  • 경기
  • 부산
  • 대구
  • 세종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우수제안사례

  1. 01 사업제안
    및 관리
    (3~4월)
    국민 사업제안
    제안사업 적격성 점검
  2. 02 각 부처
    예산안 요구
    (4~5월)
    각 부처는 제안사업 숙성 후 후보사업을
    포함하여 기재부에 예산안 요구
  3. 03 제안사업 논의
    (6~7월)
    예산 국민참여단 발족
    참여단,참여예산 후보사업 압축
  4. 04 사업
    선호도조사
    (7월)
    일반국민 설문조사
    예산 국민참여단 투표
  5. 05 정부
    예산안 반영
    (8월)
    재정정책자문회의 논의
    국무회의 정부예산안 확정
  6. 06 국회예산안
    심의·확정
    (9~12월)
    국회에서 정부예산안 심의·확정

제안자 정보

  • 제안자명
    허*호
  • 성별
  • 등록일
    2024-04-26 10:52

제안상세내용

  • 회계년도
    2025년
  • 제안명
    안전한 AI서비스 제공
  • 제안 배경 및 내용
    1. 개요
    - 챗GPT 출시 이후 국민 일상의 많은 영역에서 인공지능 서비스의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AI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부 정책 마련이 필요함

    2. 현황 및 필요성
    - 언론 등에서 AI의 부작용으로 인한 인간의 생명‧안전, 정신적‧재산적 피해 사례가 다수 보도되고 있음

    ▪ 벨기에 30대 남성이 인공지능(AI) 챗봇의 부추김을 받아 자살한 사례(‘23.3.28. LaLibre)
    ▪ 인공지능 생성 조작 사진으로 인한 일시적 미 증시 하락(’23.5월)
    ▪ 중국에서 딥페이크 기술로 친구 얼굴과 음성을 생성해 돈을 송금 하도록 한 사기 발생(‘23.5월)

    - 인공지능서비스는 환각, 비윤리성, 권리침해, 범죄 악용 등과 같은 부작용 및 오‧남용이 발생 가능하기 때문에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보호 체계 마련이 선제적으로 필요함
    ※ 통신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보호는 방송통신위원회 소관

    3. 제안 내용
    - AI 서비스의 부작용 및 오남용을 방지하고, AI의 잠재적 위험성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점검·평가 체계 마련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 생성형AI의 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한 테스트 및 평가 체계 마련
    ※ 방송통신위원회가 진행하고 있는 ‘전기통신사업자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 참고

    · 생성형AI 이용자가 AI서비스의 위험요소를 발견할 경우, 직접 신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운영하고 신고 사항을 정부가 검증, 위험요소로 판단될 경우 AI기업에 개선을 유도
    ※ 방송통신위원회의 ‘플로팅 광고 신고센터’ 참고

    · 활성화되고 있는 AI챗봇 상담 서비스의 적정성, 취약계층 이용 편의성, 대체상담 제공 여부 등을 점검하여 미흡한 사항을 기업에 알려 자율개선 유도

    - 올바르고 안전한 AI 활용법 확산을 위한 대국민 홍보
    · AI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및 우려를 해소하고 AI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콘텐츠로 제작 및 배포
    ※ 동영상, 웹툰, 책자, 브로셔 등 다양한 콘텐츠로 제작

    4. 기대 효과
    - AI의 위험과 부작용으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 및 피해 예방
    - AI의 올바른 사용법과 효용성을 널리 알림으로써, 인공지능을 실생활에서 경제생활의 보조도구로써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국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인공지능 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
  • 추정 사업비
    1,900  (백만원) 
  • 산출근거
    1. 생성형AI 점검 및 평가 체계 구축·운영(1,600백만원)
    - 생성형AI 위험성 점검 및 평가 : 800백만원
    - 생성형AI 이용자 참여 플랫폼 구축·운영 : 400백만원
    - AI챗봇 품질평가 : 400만원

    2. 안전한 AI 활용 확산을 위한 대국민 홍보(300백만원)
    - 홍보 콘텐츠 제작 : 50백만원
    - 온·오프라인 홍보 : 250백만원  

2024년도 국민제안사업 의견 접수가 종료되었습니다.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여예산 로그인[참여예산] to** 2024-06-03 10:46:24
일번적인 서비스에 비해 AI 서비스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경우는 엄청난 피해가 발생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더우기 기술 발전에 비해 안전 장치가 전무한 상황에서 우려가 되어 적극 찬성합니다
참여예산 로그인34** 2024-05-13 11:54:24
생성형 AI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생긴지 채 몇년도 되지않아 벌써 수많은 피해 사례들이 생기고 있어... 하루라도 빠른 규제 강화와 국민 보호가 필요합니다... 특히나 노인분들 같은 취약계층들이 얼마나 쉽게 속을지 걱정입니다
참여예산 로그인[참여예산] kk** 2024-05-13 10:14:27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되며,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의 무단 수집 및 사용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특히, 언급된 여러 피해 사례들을 통해 볼 때, 이러한 문제는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생성형 AI가 올바르고 적절하게 사용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정부는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AI의 진흥을 적극 지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