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

홈으로 제도소개 제도소개
x

[참여인원] 999,999

[좋아요] 99,999명 [별로에요] 99,999명
닫기

의견 감사합니다.

정확한 통계를 위해 추가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성별
  • 남자
  • 여자
나이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지역
  • 서울
  • 경기
  • 부산
  • 대구
  • 세종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X

첨부파일 다운로드 안내.

정확한 본인 확인을 위해 핸드폰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핸드폰 번호
  • - -

단계별 사업진행 현황

  1. 1단계
    사업제안

  2. 2단계
    부처별검토

  3. 3단계
    사업숙성

  4. 4단계
    정부예산안
    반영

  5. 5단계
    국회확정

제안자 정보

  • 제안자
    박*훈
  • 성별
  • 등록일
    2025-11-20 23:26

제안상세내용

  • 회계년도
    2027년 (회계년도란 향후 최종사업으로 선정된 경우 정부예산이 반영되는 년도입니다.)
  • 제안명
    국가전략기술 R&D 특별회계 5조 원 신설로 과학기술 초격차 확보
  • 제안 배경 및 내용
    1. 사업 개요
    정권이 바뀌어도 절대 삭감되지 않는“국가전략기술 R&D 특별회계”를 법으로 만들어, 2026년부터 매년 5조 원을 100% 과학기술에만 쓰는 제도 신설

    2. 문제점
    2025년 R&D 예산 6.4조 원 삭감 → 반도체·AI·배터리 세계 1위 자리 위협
    정권 바뀔 때마다 과학기술 예산이 정치 희생양 됨
    GDP 대비 국가 R&D 투자 비율 1.9% → 세계 12위로 추락 중 (이스라엘 5.4%, 한국 1.9%)
    청년 과학도 2030 박사 40%가 미국·중국으로 유출

    3. 제안 내용 – 완전 신규 제도
    「국가전략기술 R&D 특별회계법」 제정
    매년 5조 원 특별회계 신설 (2026~2030년 총 25조 원)
    재원 조달 방안
    국채 발행 2조 원 (장기저리 국채)
    세수 자연증가분 1.5조 원
    복지·홍보·행사성 예산 효율화 1.5조 원
    → 예비비·기존 예산 전혀 건드리지 않음

    100% 과학기술에만 사용 (삭감·전용 불가)
    6대 국가전략기술(반도체·AI·배터리·우주·바이오·양자) 70%
    중소·중견기업 R&D 바우처(1사 최대 100억) 15%
    만 39세 이하 청년 연구자 1만 명 × 월 400만 원 연구생활장학금 15%

    운영 방식
    과기정통부 주도, 기재부는 손 떼기
    미집행 시 다음 해 자동 이월 (삭감 불가능)
    매년 2월 국회에 집행 실적·성과 보고 의무화

    4. 기대 효과

    2026년부터 5년간 25조 원 집중 투입
    GDP 대비 국가 R&D 비율 1.9% → 2030년 4.0% 달성 (이스라엘급)
    2030년까지 반도체·AI 세계 2위권 진입
    엔비디아급 AI 기업 3개, TSMC급 파운드리 기업 1개 탄생
    청년 과학자 해외 유출 제로 → 국내 유턴 5,000명

    5. 소요 예산

    2026년 5조 원 (신규 편성)
    2027~2030년 매년 5조 원 (총 25조 원)
  • 추정 사업비
    2,500  (백만원) 
  • 산출근거
    장기저리 국채 발행 → 2조 원
    세수 자연증가분 → 1.5조 원
    복지·홍보·행사 예산 효율화 → 1.5조 원

    합계 2조 + 1.5조 + 1.5조 = 5조 원
    (예비비 0원 건드림, 기존 복지·저출산 예산 0원 삭감) 총 5년간 진행  
  • 첨부파일
     

검토 결과

검토결과

이 사업에 공감하시나요?

공감되시면 ♡버튼을 눌러주세요.

나의 의견|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의견을 남겨 주세요. 국민의 의견을 소중히 생각하고, 반영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