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

홈으로 제도소개 제도소개
x

[참여인원] 999,999

[좋아요] 99,999명 [별로에요] 99,999명
x

의견 감사합니다.

정확한 통계를 위해 추가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성별
  • 남자
  • 여자
나이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지역
  • 서울
  • 경기
  • 부산
  • 대구
  • 세종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우수제안사례

  1. 01 사업제안
    및 관리
    (3~4월)
    국민 사업제안
    제안사업 적격성 점검
  2. 02 각 부처
    예산안 요구
    (4~5월)
    각 부처는 제안사업 숙성 후 후보사업을
    포함하여 기재부에 예산안 요구
  3. 03 제안사업 논의
    (6~7월)
    예산 국민참여단 발족
    참여단,참여예산 후보사업 압축
  4. 04 사업
    선호도조사
    (7월)
    일반국민 설문조사
    예산 국민참여단 투표
  5. 05 정부
    예산안 반영
    (8월)
    재정정책자문회의 논의
    국무회의 정부예산안 확정
  6. 06 국회예산안
    심의·확정
    (9~12월)
    국회에서 정부예산안 심의·확정

제안자 정보

  • 제안자명
    이*우
  • 성별
  • 등록일
    2020-02-08 10:54

제안상세내용

  • 회계년도
    2021년
  • 제안명
    산행 중 안전사고 시 대피 안전센터 설치
  • 제안 배경
    산행 중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지리산, 소백산 등에 대피소가 설치 되어 있지만,
    그 수는 전국에 있는 산 면적이나 등산 인구에 비해 매우 적다.
    산행 중에 조난을 당하거나 부상을 당했는데 핸드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2차 사고를 당할 우려가 크다
  • 제안 내용
    백두대간, 긴 종주능선 중간에 작은부스(약 2m * 3m)를 설치하고
    부스 안에 제세동기, 태양광패널, 스마트폰 충전기, 야간 조명, 구급약품을 넣어 두고
    통신음영지역에는 이통사와 협의하여 통신시설을 설치해 두면
    적은 예산으로 산행 중 조난이나 안전사고로 부터 국민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설은 대피소에 비해 적은 예산이 투입되는 반면
    조난사고가 발생 시 119구조대 및 경찰 등 인력투입을 줄여주고
    겨울철 저체온증 등 2차안전사고를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 추정 사업비
     (백만원) 
  • 산출근거
     

2020년도 국민제안사업 의견 접수가 종료되었습니다.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