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

홈으로 제도소개 제도소개
x

[참여인원] 999,999

[좋아요] 99,999명 [별로에요] 99,999명
x

의견 감사합니다.

정확한 통계를 위해 추가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성별
  • 남자
  • 여자
나이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지역
  • 서울
  • 경기
  • 부산
  • 대구
  • 세종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우수제안사례

  1. 01 사업제안
    및 관리
    (3~4월)
    국민 사업제안
    제안사업 적격성 점검
  2. 02 각 부처
    예산안 요구
    (4~5월)
    각 부처는 제안사업 숙성 후 후보사업을
    포함하여 기재부에 예산안 요구
  3. 03 제안사업 논의
    (6~7월)
    예산 국민참여단 발족
    참여단,참여예산 후보사업 압축
  4. 04 사업
    선호도조사
    (7월)
    일반국민 설문조사
    예산 국민참여단 투표
  5. 05 정부
    예산안 반영
    (8월)
    재정정책자문회의 논의
    국무회의 정부예산안 확정
  6. 06 국회예산안
    심의·확정
    (9~12월)
    국회에서 정부예산안 심의·확정

제안자 정보

  • 제안자명
    홍*화
  • 성별
  • 등록일
    2024-01-04 08:02

제안상세내용

  • 회계년도
    2025년
  • 제안명
    < 청년 인턴십 – 소멸위기지역 2년 살아보기 > 사업
  • 제안 배경 및 내용
    (1) 제안 배경
    ㅇ 농업인 청년은 청년창업농지원사업 등 다양한 혜택과 지원을 받는 반면 비농업인 청년들에겐 턱없이 지원이 부족한 실정.
    ㅇ 귀촌을 꿈꾸는 청년들이 늘어가지만 지역과 청년을 연결시키고, 지역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중간다리 역할을 만나기 쉽지 않음.
    ㅇ 한달살이, 두달살이 등 짧게 농촌 지역에서 살아보는 프로그램들이 있지만 기간이 짧아 충분히 그 지역에서 내가 살고 일할 수 있을지 살아볼만 할지 경험할 수 있는 시간 부족.
    (2) 제안 내용
    ㅇ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네트워크가 잘 연결되어있는 단체 또는 사업체와 연계해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 월 50만원의 정착 지원금을 받으며 지역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2년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ㅇ 지역 내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조건으로 지원을 받으며, 활동 목표를 설정하여 살아간다. 연말에 전국의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들이 함께 에세이와 활동 내용을 공유하는 활동 평가 보고회를 갖는다..
    참고- 삼선복지재단 청년지역활동가지원사업 http://sscare.or.kr/xe/notice/2079
  • 추정 사업비
     (백만원) 
  • 산출근거
     

2024년도 국민제안사업 의견 접수가 종료되었습니다.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