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 입니다

홈으로 제도소개 제도소개
x

[참여인원] 999,999

[좋아요] 99,999명 [별로에요] 99,999명
닫기

의견 감사합니다.

정확한 통계를 위해 추가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성별
  • 남자
  • 여자
나이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지역
  • 서울
  • 경기
  • 부산
  • 대구
  • 세종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X

첨부파일 다운로드 안내.

정확한 본인 확인을 위해 핸드폰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핸드폰 번호
  • - -

단계별 사업진행 현황

  1. 1단계
    사업제안

  2. 2단계
    부처별검토

  3. 3단계
    사업숙성

  4. 4단계
    정부예산안
    반영

  5. 5단계
    국회확정

제안자 정보

  • 제안자
    김*석
  • 성별
  • 등록일
    2025-08-29 16:38

제안상세내용

  • 회계년도
    2027년 (회계년도란 향후 최종사업으로 선정된 경우 정부예산이 반영되는 년도입니다.)
  • 제안명
    예산을 늘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 "예산 집행 구조 개선 및 투명 평가 시스템" 도입
  • 제안 배경 및 내용
    1. 제안 배경

    * 국가 예산은 매년 확대됩니다.
    * 하지만 "적재적소에 적절한 금액이 적절한 시기에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습니다.
    * 대주주 요건 조정 논란, 담배세 인상 논의 등 구실은 다양하지만, 실제 가장 큰 이유는 세수확보라 생각합니다.
    * 예산의 효율성과 효과를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예산 확대와 세수 증대보다 더 중요하고, 국민이 직접 들여다볼 수 있는 구조가 절실합니다.

    2. 제안 내용

    1) [예산 집행 평가 시스템] 도입:

    * 부처별 지출 예산 항목에 대해 매년 성과지표와 함께 집행 실적 보고 의무화

    * AI 기반 분석 시스템 도입으로 부실한 사업, 반복된 전시성 지출 자동 감지

    2) [예산 시각화 플랫폼] 구축:

    *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는 온라인 대시보드 형태로 구성

    * 분야별, 지역별, 연령별, 부처별 예산 흐름 및 효과를 쉽게 이해 가능하도록 설계

    3) [시민 참여형 예산 리뷰 제도] 도입:

    * 지자체/중앙정부 예산 사업에 대한 시민 리뷰 등록 플랫폼 개설

    * 예산 평가 참여자에게 인센티브 지급 및 디지털 시민참여 지표에 반영

    3. 기대 효과

    * "증세 논란"보다 먼저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구조 확보

    * 전시성 지출 및 비효율 사업 선별 가능

    *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예산 감시 실현

    * AI 기반 정밀 진단으로 불필요한 재정 낭비 차단
  • 추정 사업비
     (백만원) 
  • 산출근거
     
  • 첨부파일
     

검토 결과

검토결과

이 사업에 공감하시나요?

공감되시면 ♡버튼을 눌러주세요.

나의 의견|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의견을 남겨 주세요. 국민의 의견을 소중히 생각하고, 반영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