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유산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
- 국가경제 성장에 따라 국민들의 문화향유와 교육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문화소외계층이었던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음.
□ 장애인 문화유산 교육 기회 미비
- 장애인 교육과정 중 문화유산에 대한 부분은 배제되어 있어,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음. 언어 이해력 또한 일반인에 비해 낮을 수 있어 기존의 내용을 단순히 점자나 수어로 변환하는 것으로는 충분히 의미를 전달할 수 없음.
- 기존의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은 국립박물관 등 몇몇 기관을 제외하고는 일회성 이벤트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다수임. 따라서 개별 기관이 아닌 국가 차원의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 운영되어야 함.
□ 장애 유형별 맞춤형 문화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 따라서 장애 유형별 특성에 따라, 각 유형에 맞는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 및 교보재 개발이 필요함.
● 제안 내용 : 장애인 대상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국내 소재한 세계유산 및 각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을 테마로 하여 장애유형별(시각・청각・지적) 문화유산 교육교재 및 교보재 개발 및 프로그램 시범 운영
- 장애인 대상 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은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 이에 단계별 추진계획이 필요함.
● 세부 내용 : 첨부문서 별첨
추정 사업비
450 (백만원)
산출근거
- 시각장애인 교재・교보재 개발 : 200백만원
- 청각장애인 교재・교보재 개발 : 200백만원
- 프로그램 시범운영 사업 : 50백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