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 배경 및 내용
□ 제안 배경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동물산업분야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여 2027년 시장규모 2배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반려동물 1,500만명 시대에 반려동물의 이용시설 보급이 아닌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공동체 공간을 만들고 활성화하여
단순히 이용에서 끝나지 않고 체험, 교육, 산업으로의 확대를 위한 사업을 기획 및 제안
□ 제안 내용
반려동물 테마파크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지자체에서 운영중인 반려동물 시설은 규모의 차이가 있을 뿐 공원, 산책로, 캠핑장 등 기본 이용시설제공에 맞추어 운영중인 실정임.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공원 정도의 이용시설에서 끝내지 않고
일반인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의 공간,
펫푸드, 펫헬스, 펫서비스, 펫테크등 펫코노미 신사업의 중심역활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사업화 추진
□ 기대효과
새로운 가치 창출 : 기존에 없는 새로운 문화공간의 탄생으로 인한 반려인과 일반인들의 문화, 체험, 교육, 사업공간의 탄생
고용창출 : 신사업분야의 발생으로 인한 고용창출 기대
수익증대 : 지역민 연계를 통한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
신사업모델 : 모듈러하우스 건축물, 장례서비스, 입양홍보관, 반려인 교육센터, 반려동물 유치원/호텔/놀이터 등 이용시설
펫로스 증후군 케어센터, 반려동물 관련 제조업(식품제조/쿠킹클래스/개모차, 장난감 등 용품), 반려동물 협회(교육인증, 문화센터)
수입 대체효과 : 현재 사료시장과 반려동물 용품시장의 수입대체 효과와 추후 수출을 통한 사업확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산출근거
□ 추정 사업비 : 200억
산출근거
1. 실외시설면적 : 17,000 m2 조성비 = 100억원
이용공간 조성(반려동물 공원, 어린이 공원, 일반인공원)
2. 실내시설면적 : 7,490 m2 조성비 = 100억원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 펫헬스, 펫서비스 : 커뮤니티 센터, 펫카페/식당, 호텔, 유치원/놀이방, 공방, 쿠킹클래스,
교육공간/입양홍보관/케어센터, 동물병원, 캠핑장 등
+ 신사업분야 : 펫푸드, 펫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