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식 관련 교육이나 투자 관련 교육도 필요하지만, 자기 수입과 지출을 어떻게 규모 있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잘못된 경제 관념과 소비 습관은 본인의 경제적 파탄은 물론 주위와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특히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경우 이른 나이에 아르바이트로 수입이 생기기는 하지만, 규모 있게 생활 관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저소득층이 아니더라도 과소비 습관으로 가계경제가 파탄을 맞아 가족 갈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불가피한 부채가 생겼을 경우 이 문제를 제때 해결하지 못해 문제를 키우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경제 문제로 가족 갈등이 생기고, 가족 갈등이 또경제 문제를 낳는 악순환을 겪기도 합니다.
- 그래서 경제 관념과 소비 습관, 가계경제를 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컨설팅이나 지원을 했으면 합니다.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경제 상담 쿠폰을 지급하거나 행동복지센터 등과 같이 지역에서 대상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 정기적으로 전문가를 파견해 상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 ‘가정경제상담사’, ‘청년 경제생활 상담사’ 등 관련된 분야로 양성되는 인력도 있는 만큼, 이러한 문제를 관심 두고 지원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