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기동물 보호소의 포화 상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많은 유기동물이 적절한 보호와 입양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아동복지센터의 아이들은 정서적 안정과 교감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유기동물과 아동이 서로 교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유기동물의 복지 개선과 아동의 정서적 안정 및 책임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유기동물 보호소와 아동복지센터 연계
* 보호소에서 건강 검진을 마친 유기동물을 선정하여 아동복지센터에서 돌볼 수 있도록 지원
* 센터 내 동물 돌봄 프로그램 운영 (기본적인 돌봄 교육 제공)
2. 아동을 위한 동물 교감 프로그램 운영
* 정기적인 동물 돌봄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 및 사회성 향상 도모
* 동물과 함께하는 책임감 교육 및 동물 보호 의식 함양
3. 지역사회 협력 및 후원 유치
* 동물병원 및 기업과 협력하여 사료, 용품 지원 및 의료 지원 확보
* 자원봉사자(수의사, 동물 행동 전문가)와 연계하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추정 사업비
(백만원)
산출근거
첨부파일
검토 결과
적부
부적격
판단사유
국민참여예산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유기동물과 아동이 상호 교감을 통해 유기동물 복지개선과 아동의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업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사회성이 부족하거나 겁이 많은 유기동물의 특성상, 아동복지센터로 매일 장거리 이동하여 낯선 사람과 교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보입니다. 아울러, 입양이 아닌, 추후 반환을 전제로 한 일시적인 돌봄활동은 궁극적인 유기동물의 복지개선에 도움이 안 될 수 있으며, 개물림 사고 등 안전문제 우려로 인해 아직 미성숙한 아동이 유기동물을 임시보호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고 판단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소관명
농림축산식품부
연락처
044-201-2619
검토결과
적격 여부
부적격
판단사유
국민참여예산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유기동물과 아동이 상호 교감을 통해 유기동물 복지개선과 아동의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업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사회성이 부족하거나 겁이 많은 유기동물의 특성상, 아동복지센터로 매일 장거리 이동하여 낯선 사람과 교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보입니다. 아울러, 입양이 아닌, 추후 반환을 전제로 한 일시적인 돌봄활동은 궁극적인 유기동물의 복지개선에 도움이 안 될 수 있으며, 개물림 사고 등 안전문제 우려로 인해 아직 미성숙한 아동이 유기동물을 임시보호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고 판단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