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 배경 및 내용
==현황 및 문제점==
1.K-문화의 글로벌 확산에 따라 국내외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지역별·지자체별 특화된 공공 정책 홍보 콘텐츠가 부족하여 실질적인 홍보 효과에 한계 존재.
2.서울 및 일부 지역 중심의 홍보 영상과 한국어·영어 위주의 콘텐츠 구성으로 인해, 유럽, 동아시아 등 비주류 언어권 대상 홍보 콘텐츠 부족.
3.지자체별 예산 및 전문 인력 부족으로 관광·정책·지역사업 관련 다국어 영상 콘텐츠 제작에 현실적인 어려움.
4.정부의 다양한 시민 지원 사업(복지, 교육, 생활 정보 등)에 대해 다국어 영상 콘텐츠가 부족하여, 외국인 시민의 정보 접근성과 정책 체감도 저조.
특히 다문화 가정, 외국인 노동자, 유학생 등의 정보 격차가 발생할 수 있음.
==개선방안==
1.한국어로 제작된 기존 홍보 영상을 기반으로, AI 음성합성 및 영상 자동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일본어,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6개국어 이상의 다국어 더빙 영상 자동 생성.
2. AI가 자막 자동 생성, 화자별 음성 분리 및 재현, 영상 클립 자동 편집까지 수행.
3. 영상 편집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지자체 담당자가 직접 내용 수정 가능.
4.외국어 더빙 영상에 한국어 및 번역 자막 동시 제공(화자 목소리를 학습 더빙하여 원본과 동일한 음성으로 다국어 더빙 제공)
5.자막 ON/OFF 기능으로 가독성과 사용성 향상,
6.청각장애인, 고령층 등 정보 접근성이 낮은 시민층을 위한 포용적 콘텐츠 제공.
7.AI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자체 및 서울시 각 부서에서 영상 등록 시 자동 다국어 버전 생성 및 필요 부서 간 실시간 연계 가능.
(자동 파일 변환, 분류, 클라우드 저장 등도 포함.)
8.기존 서울시 IT 인프라 및 공공영상 포털과의 연계를 통해, 별도의 추가 시스템 없이도 다국어 콘텐츠 유통체계 효율화 및 비용 절감 가능. 향후 민간 플랫폼(유튜브, SNS 등)과의 연계도 고려 가능.
==기대효과==
1.AI를 활용한 자동 다국어 더빙으로 서울시 및 지자체의 글로벌 홍보 역량 강화.
2.원본 화자의 목소리를 AI로 복제하여 자연스러운 더빙 구현,
3.이질감 없는 전달력으로 외국인의 몰입감과 신뢰도 향상.
4.한 번 구축된 AI 플랫폼은 반복 활용 가능
5.신규 콘텐츠 뿐 아니라 기존 영상의 재활용까지 가능하여 콘텐츠 자산화 및 예산 절감 효과.
6.서울시 시민 지원 정책과 생활 정보에 대한 다국어 홍보 확대를 통해 외국인 및 다문화 시민의 정책 체감도 및 삶의 질 향상. 특히 정보 소외 계층의 접근성을 개선, 정책 참여 유도 및 사회통합 기여.
7.AI 기반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행정에 접목함으로써 서울시의 디지털 행정 혁신 이미지 강화 및 스마트 글로벌 도시로서의 위상 제고.